섭스토리

역기획 (Reverse Planning) ⏪ (1) 본문

PM 부트캠프 🐍

역기획 (Reverse Planning) ⏪ (1)

섭웨이 2023. 1. 25. 17:33

'역기획'이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뜯어 보면서 어떻게 기획되었는지 역으로 살펴보는 과정이다.

 

 

기획을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기획을 해보는 것이지만,
시스템이나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는 역기획을 통해 실무적인 기획의 일정 부분을 경험해보는 것도 좋은 공부 방법이다. 

 

특히 취준생이나, 무경력자에게 역기획은 목표하는 회사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최선의 공부법이다.

기획자 면접에서 기업의 서비스 사용 경험과 서비스가 갖고 있는 문제점 파악 여부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데,

역기획을 통해서 습득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디테일한 분석 내용과 경쟁자, 나아가 개선 방안까지 제시한다면 면접자에게 분명히 좋은 인상을 심어줄 것이다.


PM으로서 서비스 기획은 1. 문제를 정의하고, 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찾아나가는 과정 으로 본다면,

 

역기획이란,

1. 이 서비스로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였는가?
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왜 이러한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을 살펴보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를 역기획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화면을 캡쳐해 가져와서 그 화면의 UI와 UX 측면에 대해서만 분석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역기획이라기 보다 화면설계서에 가깝다.

 

UI / UX 중심의 분석

 

제대로 된 역기획은 화면에 드러나는 UI 자체가 아니라,
서비스와 수익 구조를 파악하고 내부 데이터를 통해 기획자가 왜 이 UI / UX를 선택하였는가
를 파악해보는 것이다.

 

관찰은 현상일 뿐이고, 기획은 사고의 과정이다. 사고의 과정을 따라해야 역기획이 다.


 

🪜 역기획의 단계 

 

1.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 구조와 수익 구조를 파악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화면 단위로 보면 그 화면에 구현된 기능에 대해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전부겠지만,

서비스 전체를 관점으로 놓고 보면 데이터의 흐름을 통해 큰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유튜브로 예를 들어보자.

화면단위로 본다면, 메인/동영상검색/상세 이런 식으로 리스트를 잡겠지만 서비스의 관점에서는 커다란 구조의 프로세스를 찾을 수 있다.

동영상을 등록하는 사람과 동영상을 보는 사람, 그리고 여기에 광고와 동영상 리스트를 매칭하는 추천 기술 세가지가 핵심적인 구조다.

 

수익 구조 또한 파악해야 하는데, 사용하면서 파악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확실하지 않을 때는 관련 자료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도 좋다.

 

https://deep-wide-studio.tistory.com/65 참조

 

2. 데이터 가설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사용해보면서 검증한다.

 

서비스 구조와 수익 구조에 대한 분석이 끝났으면 데이터 가설을 세워야 한다.

 

유튜브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핵심 기술은 '매칭'이다. 

비즈니스 모델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 집중해보는 것이다.

동영상을 보는 사람에게 어떤 기준으로 추천을 해주는가?
동영상에는 어떤 광고를 매칭시키는가?

두 가지 '매칭'에 대한 가설을 세우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해보기 시작해야한다.

화면상에서 동영상 등록하는 시점에 획득하는 데이터(입력 내용)은 무엇이며, 동영상을 보는 사람에게서 획득하는 데이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는지 스스로 각 프로세스의 일부가 되어서 직접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수집 가능한 데이터들을 확인해야한다.

 

어떤 데이터들이 모여있는지 각자의 방식으로 세부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키워드에 따라서 광고가 나오는 것과 동영상을 클릭하고 볼 때마다 추천되는 동영상 리스트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면서 로직에 대한 가설을 세워야 한다.

 

 

이 가설을 100% 맞다고 확인해 줄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이것이 로직과 알고리즘으로 구현이 가능한지에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케이스의 파악은 어렵지만, 전체적인 그림을 비즈니스 모델에 맞춰서 판단하고 그 서비스에서 보여주는 프로세스를 찾아내는 것이다. 

 

3. 회사의 목표와 전략,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분석하여 코멘트를 단다.

유튜브에서 광고를 처음부터 스킵할 수 있는 기능을 넣는다면 고객에게는 더 편하다.

하지만 광고를 본다는 보장이 되지 않는다면 광고주는 광고를 삽입할 이유가 없다.

유튜브는 광고를 처음부터 보고 싶지 않으면 광고수익을 보전할만한 유료 멤버십인 '유튜브프리미엄 '에 가입할 것을 권유한다.

그런 이유로 일정 부분이상 광고를 스킵하면 다음에는 '유튜브 프리미엄'의 홍보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각 화면속에는 회사가 원하는 것과 어쩔 수 없는 것이 숨어있다.

회사도 원할 것같지 않고 고객도 원할 것 같지 않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면, 다음에 살펴봐야할 부분은 법령이다.

각 국가의 산업에는 관련 법령이 있고, 거기서 규제하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찾아봐야 한다.
법전을 뒤질 필요 없다. 대부분 관련 기사에 효과적으로 요약되어 있기 마련이다.

 

최종적으로 전체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식화하고 각 데이터항목의 흐름과 알고리즘을 이해한대로 작성해보자.

배운 것들은 코멘트도 달아보자.

 

4. 경쟁사와 동일한 전략에 대한 이슈 해결 방식을 비교하라.

언뜻 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사업들이 사실 조사를 하다보면 기반이 굉장히 다른 경우가 있다.

 

똑같이 고객에게 물건을 파는 쇼핑몰로 보이지만 중개형 쇼핑몰과 스스로 판매자인 제조사몰의 운영방식이나 수익구조는 다르다.

수익구조와 전략이 다르면 당연히 동일한 UI도 다르게 처리하게 된다.

 

중개형 쇼핑몰인 'G마켓'과 물건을 가져와서 판매하는 방식의 'SSG닷컴'의 주문서를 비교해보자.

G마켓은 상품상세에서 쿠폰을 적용하고 주문서에서 변경이 불가능하고, SSG닷컴은 주문서에서 선택된 쿠폰외에 다른 쿠폰이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이 차이는 쿠폰의 사용 후 비용처리를 누가 담당하느냐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연히 스텝이 분리가 되면 데이터도 분리가 가능하다.

더 쉽게 말하면 오픈 마켓은 상품쿠폰의 금액이 주문서에서 여러가지 상품을 구매할 때 금액이 섞이지 않아야 나중에 입점사에 청구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즉, 고객에게 쿠폰을 준다는 것을 동일하지만 비즈니스의 구조와 전략에 따라 UI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그냥님의 글을 인용)

https://groschool.kr/category/business/post/reverse-planning

 

혼자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법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회사 없이도 혼자 서비스 기획을 마스터해 보자

groschool.kr


역기획 예제 자료들

 

역기획, 서비스 분석은 딱 반쪽짜리 공부다

직접 프로덕트나 서비스를 만들어 봐야 한다 | PM 지망생들의 필수 공부법, 역기획과 서비스 분석 최근 PM을 지망하는 취준생이나 현직자들이 많아졌다는 걸 느낀다. 어떻게 느꼈냐면 역기획, 서

brunch.co.kr

 

 

🔍 도그냥 서비스 역기획 : 마켓컬리

최근 서비스 기획 중에 벽에 가로막힌 느낌이 강하게 들고 있다. 아무런 생각도 들지 않고, 나의 부족한 만 더욱 크게 느낄 뿐이다. 잡히는 모든 책들을 읽던 중에 도그냥으로 활동하고 계신 이

this-is-realreview.tistory.com

 

모바일 교보문고 역기획(1)

[역기획 스터디 1] | 안녕하세요, UX 디자이너를 꿈꾸는 도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기획 스터디에서 진행했던 모바일 교보문고 프로젝트에 대해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역기획이란

brunch.co.kr

 

단순히 UI를 살펴보는 정도가 아닌,

서비스 구조 전체와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사고방식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오늘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번개장터' 서비스를 역기획하여 다음 게시물을 올릴 예정이다.

 

'PM 부트캠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 GPT 사용 후기 😮  (0) 2023.02.06
Chat GPT 가 뭐길래? 🤖  (3) 2023.01.30
사용자 여정 지도 (Customer Journey Map) 🗺  (1)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