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M 부트캠프 🐍 (4)
섭스토리

지난 글 : Chat GPT 가 뭐길래? 🤖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Chat GPT)가 최근 화제다. 2016년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경기로 AI시대 개막을 알린뒤 새로운 주자로 바턴을 이어받은 셈이다. 챗GPT는 미국 인공지능 연구조 seobcoding.tistory.com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Chat GPT를 실제로 사용해보고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주의! 신속한 정보 전달보다 신나서 의식의 흐름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빠르게 정보만 알고 싶은 분은 다른 글을 보시는 것을 추천! Chat GPT 홈페이지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Chat GPT)가 최근 화제다. 2016년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경기로 AI시대 개막을 알린뒤 새로운 주자로 바턴을 이어받은 셈이다. 챗GPT는 미국 인공지능 연구조직 OpenAI가 2022년 12월 1일 내놓은 대화형 인공지능으로서 대규모 AI 모델인 GPT 3.5를 적용했다. 🧠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 어떤 텍스트가 주어졌을 때 다음 텍스트가 무엇인지까지 예측하며 글을 만드는 인공지능 모델 (Open AI가 개발) - 대표적인 GPT 기술이 사용된 예 → 구글이나 네이버의 검색창 - 2018년에 GPT-1 출시, 현재는 GPT 3.5 까지 발전 우리에게 익숙한 '챗봇' 서비스의 고도화된 버..

'역기획'이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뜯어 보면서 어떻게 기획되었는지 역으로 살펴보는 과정이다. 기획을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기획을 해보는 것이지만, 시스템이나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는 역기획을 통해 실무적인 기획의 일정 부분을 경험해보는 것도 좋은 공부 방법이다. 특히 취준생이나, 무경력자에게 역기획은 목표하는 회사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최선의 공부법이다. 기획자 면접에서 기업의 서비스 사용 경험과 서비스가 갖고 있는 문제점 파악 여부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데, 역기획을 통해서 습득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디테일한 분석 내용과 경쟁자, 나아가 개선 방안까지 제시한다면 면접자에게 분명히 좋은 인상을 심어줄 것이다. PM으로서 서비스 기획은 1. 문제를 정의하고, 2. 문제를 ..

사용자 경험은 단순히 사용자가 제품을 쓰는 순간의 총합이 아니다.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서비스나 제품을 만나는 시작부터 사용을 종료하여 떠날 때까지 연결되어 있고 각 단계는 서로 영향을 받는다. 사용자 경험에서 노이즈(Noise)는 버리고 시그널(Signal)들만 선별해서 시사점을 찾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렇게 시사점을 찾는 과정을 '모델링'이라고 부른다. 어떻게 사용자의 경험을 모델링 할 수 있을까? 여정지도 (Customer Journey Map) Customer Journey Map은 고객이 서비스 또는 제품과 어떤 터치포인트로 만나고, 무슨 생각과 행동을 하는지, 니즈가 충족되었는지 등을 시간 축으로 가시화한 그래프 페르소나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시간 순서에 따라 어떤 경험을 하게 ..